때 이른 방수제품 출시 봇물... 이유는?

IT이야기 2014. 4. 22. 18:38


방수 카메라, 방수 스마트폰, 방수 태블릿PC…. 최근 출시되는 정보기술(IT) 제품들이 저마다 ‘방수’ 기능을 무기로 내세우고 있다. 예년엔 5월 말~6월 초 나오던 방수 제품이 올 들어 3~4월로 출시가 앞당겨지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올림푸스는 최근 수중 10m에서 방수되는 아웃도어 카메라 ‘STYLUS TG-850’을 이달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이 카메라는 방수 카메라 최초로 180도 회전이 가능한 틸팅 LCD를 탑재해 물놀이를 즐기면서도 셀카 촬영에 유용하다. 초당 60프레임의 풀HD 동영상 촬영도 가능해 수중 영상 촬영도 쉽다. 


 지난 11일 세계 125개국에 정식 출시된 삼성전자의 전략 스마트폰 갤럭시S5도 수심 1m에서 30분간 방수가 가능하다는 점을 주요 기능으로 내세웠다. 지난해 갤럭시S4 액티브로 반응을 살핀 삼성전자는 비싼 스마트폰의 훼손을 우려하는 소비자의 요구를 반영해 방수 기능을 갤럭시S5에 전면 채택했다. 


 소니코리아는 지난 3월 말 방수 태블릿PC ‘엑스페리아 Z2’를 출시했다. 수영장 욕실 등 수심 1.5m에서 30분간 견딜 수 있을 정도로 뛰어난 방수 성능을 자랑한다. 


 이처럼 방수 제품이 이른 시기에 출시되는 이유는 올해 유난히 봄이 짧고 무더운 여름이 길게 지속될 것이라는 일기예보로 물놀이용 방수 제품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특히 올해는 5월 초 황금연휴와 6월 초 지방선거~현충일 징검다리 연휴라는 특수성이 있어 해외여행 등 이른 여름휴가를 계획하고 있는 이들을 중심으로 방수 제품에 대한 관심이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올림푸스 관계자는 “두 번의 황금연휴를 앞두고 이른 여름휴가를 계획하는 이들이 많아 예년보다 방수 카메라를 앞당겨 출시했다”고 설명했다.


 덕분에 방수 제품뿐만 아니라 방수 기술 기업도 덩달아 관심을 받고 있다. 방수코팅 전문업체 아이림케이오는 방수 제품을 사지 않더라도 수심 1m에서 30분간 방수되는 방수코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방수 기능의 핵심 소재인 실리콘 제조업체들도 올해 크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박병종 기자 ddak@hankyung.com

설정

트랙백

댓글

컨시어지 망한 것도 통신사 보조금 때문?

IT이야기 2014. 3. 23. 18:10




애플 제품의 국내 최대 판매점인 ‘컨시어지’가 문을 닫는 것은 이동통신사들의 단말기 보조금 관행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익명을 요구한 SK텔레콤의 직원은 13일 “컨시어지가 망한 것은 애플 제품의 점유율이 줄고 있는 것이 직접적인 원인”이라고 말했습니다. 컨시어지는 SK텔레콤의 형제회사 SK네트웍스가 운영하는 사업체입니다.


스마트폰과 태블릿PC 등 스마트 기기는 운영체제(OS)를 공유하기 때문에 한 부문의 타격이 다른 쪽으로 전염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국내 스마트폰 시장에서 아이폰의 점유율 하락이 아이패드 등 관련 제품의 판매에도 영향을 미쳤다는 것입니다.


이 직원은 “아이폰 점유율 하락의 원인이 국내 스마트폰 제조업체들의 판매 장려금 지급 때문”이라며 “제조사가 장려금으로 지급한 돈이 통신사의 보조금에 얹어져 소비자들에게 지급된다”고 설명했습니다. 결국 보조금 관행이 고착화된 한국 시장이 장려금을 지급하지 않는 외산폰들의 무덤이 되고 있다는 설명입니다. 


문제는 이번 컨시어지의 사업철수에서 보듯 보조금 관행이 단지 이동통신 3사의 밥그릇 싸움에서 그치지 않고 유관산업에도 영향을 준다는 데 있습니다. 보조금이 스마트폰, 태블릿PC는 물론 충전기, 케이스, 이어폰 등 관련기기 산업도 좌우하게 된 것입니다.


보조금의 또 다른 문제는 혁신을 저해한다는 것입니다. 제품을 혁신하기보다는 보조금을 늘려 당장 물건을 팔겠다는 전략은 해외 기업들과의 기술 경쟁에서 뒤쳐지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과거 아이폰이 등장해 해외시장을 평정했을 때, 폐쇄적인 국내 시장에서 삼성은 악명높은 옴니아를 팔고 있었죠.


보조금 관행에 익숙치 않고 국내업체에 비해 협상력도 낮아 보조금 경쟁에서 밀릴 수밖에 없는 외산폰이 국내에서 설 자리를 잃게 되면, 소비자의 선택 폭도 좁아집니다. 결국 소수 국내 업체들이 판을 치는 시장은 담합이 횡행하는 과점시장을 형성하고 제품 혁신의 인센티브도 사라지게 됩니다.


박병종 기자 ddak@hankyung.com [한경+ 2014. 3. 13]

설정

트랙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