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결제라더니 '꼼수결제'? BC·국민카드 모바일 ISP 논란

한국경제 2014. 4. 15. 19:12


지난달 A씨는 휴대폰 요금 청구서를 살펴보다 깜짝 놀랐다. ‘모바일 안전결제(ISP)’라는 항목으로 550원이 청구된 것. 3월에 이 같은 서비스를 사용하지도 않았을 뿐더러 언제 가입했는지도 알 수 없었다. 해당 이동통신사인 SK텔레콤에 문의하니 “이미 지난해 1월 가입해 지금껏 매달 550원씩 요금이 부과됐다”고 설명했다. 몇 달째 한번도 쓰지 않은 서비스라며 항의했지만 “본인이 직접 가입한 것이라 어쩔 수 없다”는 반응이 돌아왔다.


‘모바일 ISP’로 인한 피해자가 늘고 있다. 모바일 ISP는 휴대폰에서 신용카드 결제 시 카드번호와 비밀번호 등을 매번 입력하지 않고 미리 설정한 ISP 인증서를 통해 결제하는 방식이다. 결제대행사(VAN) ‘브이피’가 제공하고 비씨카드와 국민카드 등이 채택하고 있다.


문제는 휴대폰에 저장된 ISP 인증서를 PC에서도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ISP 휴대폰 저장 서비스’다. 매월 550원(부가세 포함)이 부과되는 서비스임에도 유료라는 사실을 모르는 사용자가 많다. 하단에 깨알 같은 글씨로 표시된 ‘이용요금’ 문구를 보지 못해 그저 결제 과정 중 하나라고 생각하고 무심코 가입하는 사용자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트위터에는 연일 피해자들의 성토가 이어지고 있다. 이들은 “이용요금 문구가 매우 작아 눈에 잘 띄지 않는다”며 “사용자가 인터넷 결제 시 무심코 ‘확인’ 버튼을 누르는 점을 악용한 꼼수”라고 지적했다. 브이피 측은 “유료 서비스임을 표기했다”며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브이피의 지분 구조를 살펴보면 피해자들의 지적이 더 설득력을 얻는다. 브이피는 모바일 ISP를 채택하고 있는 비씨카드(50.9%)와 국민카드(10.8%)가 결제대행사 이니시스(20.7%)와 합작으로 세운 회사다. 지난해 서비스를 해지했다는 김모씨는 “비씨카드와 국민카드가 우회적인 방법으로 자사 회원들의 돈을 뜯어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휴대폰 부가서비스로 분류된 요금 부과 방식에 대해 이통사와 ‘짜고 치는 고스톱’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모바일 ISP의 수익은 이통사가 20%, 운영사인 브이피가 80%를 가져간다. 이통사는 가만히 앉아서 공돈을 벌고 있는 셈이다. 매일같이 걸려오는 항의 전화에도 이통사가 서비스 해지만 해줄 뿐 모르쇠로 일관하는 이유다.


박병종/김재후 기자 ddak@hankyung.com


설정

트랙백

댓글

유영석 코빗 대표 "비트코인, 화폐논쟁보다 새 산업으로 봐야"

비트코인 2014. 3. 26. 11:00


“비트코인이 화폐인가 아닌가에만 논의의 초점을 맞춰서는 안됩니다. 비트코인이 가지고 있는 산업적 측면에도 주목해야 합니다.”


한국 최초 비트코인 거래소 코빗(Korbit)의 유영석 대표(사진)는 10일 한국경제신문과 가진 인터뷰에서 “현재 비트코인에 대한 논의가 다소 왜곡돼 있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섣불리 규제의 칼날을 들이댈 것이 아니라, 한국 경제의 성장엔진이 될 가능성에 대해서도 검토해야 한다는 것이다.


유 대표는 최근 정부가 비트코인을 화폐로 인정하지 않고 악용 가능성에 대해 감시를 강화하기로 내부 결정을 내린 것에 대해 “비트코인이 화폐의 역할을 일정 부분 수행한다고 해서 정부가 바로 화폐로 인정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며 “비트코인을 성장 잠재력을 가진 디지털 금융 인프라로 봐야 한다”고 주문했다.


유 대표는 “비트코인은 단순한 가상화폐가 아니라 애플의 iOS나 구글의 안드로이드와 같은 일종의 금융 운영체제(OS)로 볼 수 있다”며 “스마트폰 OS에 애플리케이션(앱)을 깔아 쓰듯, 비트코인 플랫폼 안에서도 다양한 응용 서비스들이 나올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비트코인으로 대금을 결제할 때 문서 파일을 암호화해 함께 보낼 수 있고, 이 내역은 비트코인 네트워크에 고스란히 저장·공유돼 추후 증거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며 “일종의 디지털 공증 서비스를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비트코인은 특정 조건이 충족됐을 때 거래가 자동으로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며 “이를 이용해 비트코인으로 유산을 남기면 어린 자녀가 특정 연령이 되는 해에 비트코인을 쓸 수 있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주식시장의 지수나 환율 등 금융 데이터에 조건을 걸면 금융회사를 거치지 않고도 스스로 작동하는 선물이나 옵션, 보험 상품 등을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일종의 스마트 금융 OS라는 설명이다.


유 대표는 비싼 수수료 때문에 활성화되지 못한 소액결제 시장에서 비트코인이 강점을 발휘할 수도 있다고 지적한다. “소수점 8자리까지 분할이 가능한 비트코인의 특성을 이용하면 인터넷상의 문화상품 소액결제에도 활용이 가능하다”며 “인터넷에서 공유되는 한류 콘텐츠에 100원이 안되는 돈도 쉽게 결제할 수 있어 한류문화 수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현재 비트코인에 대한 투기적인 접근이 미국의 닷컴버블과 유사한 측면이 있다”면서도 “버블이 꺼진 뒤에도 인터넷이라는 기술의 가치는 변하지 않아 구글·페이스북 등 글로벌 기업이 나온 것처럼, 장기적으로 비트코인이라는 기술 위에 새로운 산업이 자리를 잡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에서 글로벌 정보기술(IT) 기업이 나오기 힘들었던 이유는 언어 장벽 때문이었고, 글로벌 금융기업이 없었던 것도 원화라는 화폐를 기반으로 해 태생적인 한계가 있었기 때문”이라며 “비트코인이라는 세계 공통의 ‘금융언어’가 세계 최고 수준의 한국 IT와 결합하면 이런 장벽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 대표는 미국에서 전기공학과 금융학을 전공한 뒤 유엔 우주사무국에서 일했다. 이후 실리콘밸리에서 창업교육을 받고 한국에 들어와 올해 코빗을 세웠다.


박병종 기자 ddak@hankyung.com [한국경제신문 2013. 12. 11]

설정

트랙백

댓글

국내 '비트코인' 받는 가게 첫 등장

비트코인 2013. 12. 7. 00:04


국내에서 현금 대신 온라인 가상화폐 비트코인을 받는 가맹점(사진)이 처음으로 등장했다. 미국 중국 키프로스 등 외국에서는 이미 비트코인을 받는 업체가 수만곳에 달하지만 한국에서는 단순 투자 목적으로 사용할 뿐 현물 거래에서는 쓰이지 않았다. 이번 가맹점 등장으로 한국에서도 새로운 국면을 맞을 것으로 예상된다.


파리바게뜨 인천시청역점은 지난 1일부터 현금 대신 비트코인으로 물건값을 낼 수 있게 했다. 매장에는 ‘비트코인 사용처’라는 표지를 붙이고 자체적으로 비트코인 결제를 돕는 전용 태블릿PC 애플리케이션(앱·응용프로그램)도 제작했다.


비트코인 결제 과정을 직접 확인하기 위해 찾은 제과점에서 1000원짜리 치즈케이크 하나를 샀다. 매장에서 운영하는 결제 보조 앱에 원화 가격 1000원을 입력하니 세계 최대 비트코인 시장인 일본 마운틴곡스 거래소의 실시간 환율이 적용돼 0.0008BTC(비트코인 단위)가 표시됐다. 코인베이스라는 스마트폰 앱을 이용해 앞서 다른 사용자로부터 구입한 0.0008BTC를 점장 이종수 씨(55)의 스마트폰으로 이체했다. 비트코인은 한국 거래소인 코빗(Korbit)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다.


결제가 끝나기까지 걸린 시간은 단 10초. 택시에서 신용카드로 결제하는 시간 정도였다. 현금 대신 비트코인을 낸다는 것 외에는 포인트 적립이나 영수증 발행 등 모든 것이 같았다. 이씨는 “받은 비트코인의 원화 가치만큼 포스(POS) 단말기에 입력하고 현금 영수증을 발행하면 세금도 문제될 게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씨가 가게에서 비트코인을 받기로 결심한 것은 두 아들의 영향이 컸다. 미국 뉴욕대에서 금융학을 공부하던 아들 찬우씨(25)는 지난 4월 가격 폭등으로 비트코인이 미국 언론으로부터 주목받자 관심을 갖게 됐다. 그러다 7월 개당 86달러에 17BTC를 구매한 뒤 한국에 돌아와 형 진우씨(29)에게 소개했다.


대학 재학 시절 벤처기업을 운영했던 프로그램 개발자 진우씨는 자신의 특기를 살려 매장에서 비트코인 결제를 도와주는 앱을 직접 개발했다. 금융학도와 프로그램 개발자인 형제의 조합이 국내 최초 비트코인 가맹점 등장에 결정적 역할을 한 것이다.


이씨는 “외국에서는 다들 하고 있는데 한국에서 안 될 이유가 없다고 생각해 이 같은 결정을 했다”며 “현재 영문판인 비트코인 거래 앱을 앞으로 한글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국에서 비트코인을 사용하려는 곳은 또 있다. 박경신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등이 참여하는 인터넷 표현의 자유 시민단체 오픈넷은 “향후 후원자들로부터 비트코인으로 기부를 받으려 한다”며 “관련 준비는 모두 끝난 상태”라고 말했다.


현재 비트코인은 세계적으로 133억달러어치가 유통되고 있으며, 한국 거래소인 코빗에서도 하루 3억원어치가 거래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천=박병종 기자 ddak@hankyung.com  [한국경제신문 - 2013. 12. 3]


설정

트랙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