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문제 해결방안

논술작문 2012. 9. 1. 22:42

위안부라는 단어는 영어로 ‘comfort women’으로 번역되며 군인들을 위안하는 여성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하지만 이러한 단어사용은 위안부 문제의 본질을 왜곡시킨다. 피해자들이 마치 매춘부처럼 자발적으로 지원한, 성적으로 타락한 여성이라는 착각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이에 지난 7,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은 위안부를 성 노예(sex slaves)’로 고쳐 불렀다. 이 발언에 일본 외상은 즉각 반발했고 최근에는 이 문제가 독도문제와 엮이면서 일본의 우경화를 가속화하고 있다. 노다 일본 총리는 1993년 위안부 강제동원을 일부 인정한 고노담화를 수정하자는 제안을 했고 일본 우익인사들은 강제동원 증거를 내놓으라며 반발하고 있다.

 

일제에 의해 유린당한 위안부 피해자들을 매춘부로 비하하는 그들의 논리에 대응하기 위해서라도 강제동원에 대한 증거는 필수적이다. 실제로 그 증거는 많은데 전쟁 당시 미국 의회조사국 보고서 내용이나 호레이스 언더우드 박사의 미국정부 보고기록, 네덜란드 정부문서기록 보관소 자료 등이 이에 해당한다. 또 이를 차치하고라도 한국, 중국, 동남아 등지의 피해자들의 일관된 증언 또한 이를 뒷받침한다. 명확하고 반박 불가능한 증거들을 통해 사실관계를 명확히 하는 것은 위안부 문제 해결의 초석이다.

 

하지만 이런 많은 증거들에도 불구하고 일본이 사실을 인정하지 않고 끝까지 반발하는 것은 우리가 이 문제를 민족대결의 프레임으로 끌고 갔기 때문이다. 물론 한 개인의 문제로 국한시키지 않고 민족 전체에 대한 일제의 성 침탈로 규정지은 것은 사회 전체가 이 문제에 주목하게 만들었다. 하지만 이를 통해 발전된 민족대결 구도는 오히려 일본 우익세력에 힘을 실어주고 그들이 자학사관을 탈피해 재무장으로 가는 길을 열어준다. 차라리 피해자 개개인의 고통스러웠던 경험과 삶을 조명하는 편이 민족과 국적을 초월한 인류의 보편적 공감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피해자들의 비참한 경험과 아픔을 대면한다면 일본인들 어찌 이를 무시할 수 있겠는가. 위안부 문제는 민족대결이 아닌 피해자들의 고통에 대한 인류애적 공감에서만 해결될 수 있다.

 

일본은 민간차원에서 여성을 위한 아시아 평화 국민기금이라는 조직을 설립하여 위안부 피해자를 보상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단순 경제적 보상에 불과하며 역사적 승복과 사죄로는 볼 수 없다. 참혹하게 짓밟힌 인생이 자본의 논리로 보상될 수 있다는 편리한 발상은 공분을 사기에 충분하다. 민족대립의 도식 속에 회수됐던 피해자 개개인의 참혹한 삶을 상기한다면 이런 경솔한 행동은 없었으리라. 진정 피해자들에게 사죄하는 길은 일본 스스로가 진실을 밝히고 기억하는 것이 먼저다. 경제적 배상은 그 후의 일이다. 민족과 국적을 떠나 한 인간에게 일어난 끔찍한 일들을 직시하고 잘못을 인정하며, 피해자들을 위로하는 길만이 이 문제를 해결할 방법이다. 진정으로 위안이 필요한 이는 그들이기 때문이다.

 

'논술작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허전쟁에 대해 논하라  (0) 2012.09.11
독도  (0) 2012.09.04
말은 마음이다 (논제)  (0) 2012.08.28
경제적 약자를 위한 시장개입은 정당한가  (0) 2012.08.25
잊혀질 권리  (0) 2012.08.21

설정

트랙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