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현상

논술작문 2012. 4. 13. 12:58

피에르 부르디외는 현실사회를 설명하기 위해 문화자본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였다. 지배적 문화에 적합한 언어나 상징적 표현, 생활양식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이 높을수록 문화자본을 많이 소유하게 된다. 문화자본의 소유는 정치, 경제적 권력의 분배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문화자본을 많이 소유하기 위한 경쟁은 필연적이다. 그리고 그 경쟁에 가장 유리한 전략은 자기 문화를 지배적 문화로 만드는 것이다. 한류라는 말랑말랑한 겉모습의 이면에는 지배적 문화가 되기 위한 구조적 권력관계의 형성과 그 고착화 과정이 똬리를 틀고 있다.

  90년대 중반 이후 우리나라의 드라마가 중국에 수출되기 시작하면서 중화권을 중심으로 한류라는 말이 쓰이고 있다. 한국의 문화상품은 중화권을 필두로 일본, 동남아 등지에서 큰 인기를 얻었고 근래에 들어서는 유럽, 남미 등에서도 호응을 얻고 있다. 이러한 현상의 시작은 우리 문화가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사이의 과도기적 단계에 있었기 때문이다. 아직 모더니즘 단계에 있는 중국의 눈에 한국의 문화는 극단적 이질감을 피하는 동시에 세련돼 보인다. 한편 포스트모더니즘 문화의 일본 중년에게는 잘나가던 시절에 대한 향수가 한국 드라마에 대한 애착으로 나타난다. ‘과도기적 문화는 이처럼 문화적 역량보다는 문화 구조의 이점으로 교묘하게 아시아 사람들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었다.

  한류열풍은 문화라는 소프트웨어적 개념과 이를 생산하고 상품화하는 하드웨어적 시스템을 함께 이해해야 한다. 한국의 여러 연예 기획사는 문화상품의 기획부터 생산, 마케팅, 판매, 투자에 이르기까지 제조업과 비견될 정도의 체계적 효율성과 자본력을 갖췄다. 이를 통해 생산되는 문화상품은 그 질적 측면에서도 충분히 경쟁력을 가지며 대량생산, 유통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한류는 지속적인 영향력을 가질 수 있었으며, 한국의 문화상품은 아시아를 석권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는 한국 사람들의 문화가 아닌 일부 기업의 문화상품 생산 시스템에 의한 것으로서 문화적이기보다는 구조적인 현상이다.

  질량이 큰 물체가 그만큼 세게 끌어당기는 힘을 가진다는 인력의 법칙은 문화현상에도 적용된다. 규모가 크고 힘이 센 문화에 문화적 영향력이 작은 나라들은 큰 영향을 받기 마련이다. 최근 한류가 아시아를 넘어 유럽과 아메리카 대륙에까지 미치고 있다. 아시아에서 세력을 키운 한국의 문화 상품이 더 큰 힘으로 외부의 수요자들을 끌어당기기 때문이다. 이는 물리현상과 별반 다르지 않은 구조적 필연성을 지닌다. 한류는 단지 일시적 현상이 아니라 탄탄한 구조적 기반을 갖추고 있다.

  한류는 소프트웨어적이기보다는 하드웨어적이며 문화적이기보다는 구조적이다. 과연 한국 사람들은 문화인인가. 우리들이 정말로 수준 높은 문화를 생산하며 향유하는가. 이러한 질문에 우리는 머뭇거릴 수 밖에 없다. 한류의 실체는 한국 사람들 전반의 문화적 역량이 반영된 것이 아닌, 삼성이나 현대의 제조업처럼 소수의 기업이 기획하고 생산한 수출상품이기 때문이다. 물론 한류열풍으로 한국의 이미지가 좋아지고 우리의 문화상품이 세계적인 인기를 누리는 것은 반길만한 일이다. 하지만 그와 동시에 우리가 정말 문화적인지에 대해선 스스로 물을 일이다.

설정

트랙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