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결제라더니 '꼼수결제'? BC·국민카드 모바일 ISP 논란

한국경제 2014. 4. 15. 19:12


지난달 A씨는 휴대폰 요금 청구서를 살펴보다 깜짝 놀랐다. ‘모바일 안전결제(ISP)’라는 항목으로 550원이 청구된 것. 3월에 이 같은 서비스를 사용하지도 않았을 뿐더러 언제 가입했는지도 알 수 없었다. 해당 이동통신사인 SK텔레콤에 문의하니 “이미 지난해 1월 가입해 지금껏 매달 550원씩 요금이 부과됐다”고 설명했다. 몇 달째 한번도 쓰지 않은 서비스라며 항의했지만 “본인이 직접 가입한 것이라 어쩔 수 없다”는 반응이 돌아왔다.


‘모바일 ISP’로 인한 피해자가 늘고 있다. 모바일 ISP는 휴대폰에서 신용카드 결제 시 카드번호와 비밀번호 등을 매번 입력하지 않고 미리 설정한 ISP 인증서를 통해 결제하는 방식이다. 결제대행사(VAN) ‘브이피’가 제공하고 비씨카드와 국민카드 등이 채택하고 있다.


문제는 휴대폰에 저장된 ISP 인증서를 PC에서도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ISP 휴대폰 저장 서비스’다. 매월 550원(부가세 포함)이 부과되는 서비스임에도 유료라는 사실을 모르는 사용자가 많다. 하단에 깨알 같은 글씨로 표시된 ‘이용요금’ 문구를 보지 못해 그저 결제 과정 중 하나라고 생각하고 무심코 가입하는 사용자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트위터에는 연일 피해자들의 성토가 이어지고 있다. 이들은 “이용요금 문구가 매우 작아 눈에 잘 띄지 않는다”며 “사용자가 인터넷 결제 시 무심코 ‘확인’ 버튼을 누르는 점을 악용한 꼼수”라고 지적했다. 브이피 측은 “유료 서비스임을 표기했다”며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브이피의 지분 구조를 살펴보면 피해자들의 지적이 더 설득력을 얻는다. 브이피는 모바일 ISP를 채택하고 있는 비씨카드(50.9%)와 국민카드(10.8%)가 결제대행사 이니시스(20.7%)와 합작으로 세운 회사다. 지난해 서비스를 해지했다는 김모씨는 “비씨카드와 국민카드가 우회적인 방법으로 자사 회원들의 돈을 뜯어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휴대폰 부가서비스로 분류된 요금 부과 방식에 대해 이통사와 ‘짜고 치는 고스톱’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모바일 ISP의 수익은 이통사가 20%, 운영사인 브이피가 80%를 가져간다. 이통사는 가만히 앉아서 공돈을 벌고 있는 셈이다. 매일같이 걸려오는 항의 전화에도 이통사가 서비스 해지만 해줄 뿐 모르쇠로 일관하는 이유다.


박병종/김재후 기자 ddak@hankyung.com


설정

트랙백

댓글

세계 최초 UHD 방송이 오후 3시8분에 시작된 이유

한국경제 2014. 4. 11. 18:29


2014.04.10. PM 03:08.

지난 10일 오후 3시8분 세계 최초로 UHD 방송 상용서비스가 시작됐습니다.UHD 방송은 HD 방송보다 네 배 이상 선명한 영상과 생생한 음질로 차세대 방송산업을 이끌 것으로 기대되는 서비스입니다.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는 10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14 디지털케이블TV쇼에서 세계 최초 ‘케이블 UHD 상용화 선포식’을 열고 전용채널 유맥스를 통해 UHD 방송을 송출했습니다. 최문기 미래창조과학부 장관과 국내외 케이블 업계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했습니다.

한가지 눈길을 끄는 것은 방송 시작 시간이 오후 3시8분이라는 것. 뭔가 정시로 딱 떨어지지 않는 이 어정쩡한 시각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궁금했습니다. 기자라면 그냥 넘길 수 없는 부분이죠. 기자들 사이에서 여러가지 추측이 난무했습니다. 하지만 협회 관계자의 대답을 듣고는 실소를 금할 수가 없었죠.

“장관님께서 축사를 하시고 송출 스위치까지 이동하는 시간까지를 고려한 것입니다."

오후 3시 정각 선포식 시작. 사회자의 참석자 소개(2분) + 최문기 장관의 축사(5분) + 최 장관을 포함한 VIP들의 송출 스위치까지의 이동시간(1분) = 8분.

세계 최초 UHD 서비스의 시작을 알리는 이벤트는 장관의 일거수 일투족을 중심으로 짜여졌습니다. 협회 관계자에게 오늘의 주인공이 UHD 방송인지 최 장관인지 물었으나 들어오는 대답은 “알면서 왜 그러세요”였죠.

또 다른 문제는 축사에서 발생했습니다. 최 장관의 축사 도중 사회를 보던 아나운서가 장관의 말을 끊고 “장관님, 시간이 부족하니 짧게 해주시죠”라고 말한 것. 3시8분에 송출 스위치를 누르는 퍼포먼스를 통해 방송의 시작을 알리도록 시나리오가 짜여져 있기 때문이었습니다.

최 장관에 맞춰져 있던 시나리오가 최 장관의 행동을 제약하는 역설적인 상황이 발생한 겁니다. 당황한 최 장관은 작심하고 준비해온 축사를 서둘러 끝낼 수 밖에 없었습니다.

문제는 여기서 끝나지 않았습니다. 장관 보좌진 측에서 아나운서가 장관의 말을 끊은 것에 대해 거세게 항의한 것입니다. 안그래도 미래부 눈치를 볼 수밖에 없는 케이블TV방송협회 입장에선 뒷맛이 개운치 않은 행사가 돼버렸습니다.

제목 ‘오후 3시8분’의 미스터리 영화는 이렇게코미디 영화로 끝나게 됩니다.

박병종 기자  ddak@hankyung.com


설정

트랙백

댓글

니콘코리아 사장 "스마트폰과 카메라는 공존할 것"

IT이야기 2014. 4. 7. 09:31


“스마트폰과 디지털 카메라는 하나로 합쳐지기보다는 공존할 것이다.”


지난 2월 한국에 온 야마다 코이치로 니콘이미징코리아 대표는 부임 이후 처음으로 지난 2일 기자간담회를 갖고 이같이 말했다. 야마다 대표는 1981년 니콘에 입사해 독일 지사장, 유럽 영업본부장, 본사 마케팅본부 제너럴매니저 등을 역임한 마케팅 전문가다. 그는 “스마트 칩셋을 추가하는 과정에서 내부 공간의 제약으로 카메라 본연의 기능이 희생될 수 있다”며 “당분간 스마트폰과 디지털 카메라는 무선통신으로 데이터를 공유하는 선에서 공존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야마다 대표의 발언은 디지털 카메라와 스마트폰 간의 융합을 시도하고 있는 삼성전자의 전략과 대치된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12월 카메라 사업부를 아예 무선사업부로 통합했다. 삼성전자가 강점을 보이고 있는 스마트 기기의 DNA를 카메라에 이식하겠다는 복안이다. 실제로 삼성은 갤럭시 NX, 갤럭시 카메라 등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를 탑재한 스마트 카메라 시리즈를 지속적으로 선보이고 있다. 완전히 반대의 길을 선택한 두 업체의 희비가 올해 카메라 시장의 관전 포인트가 될 전망이다.


지난해 디지털 일안반사식(DSLR) 카메라의 점유율을 넘어선 미러리스 카메라에 대해서도 야마다 대표의 생각은 확고했다. 그는 “국내 미러리스 시장이 올해도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점유율 확대에 목매지는 않을 것”이라고 잘라 말했다. 이어 “니콘의 미러리스 카메라는 단순히 작고 가벼워지는 것에 그치지 않고 여러 고급 기능을 강조하고 있다”며 “미러리스 카메라 시장이 더 성장하면 자연스레 시장이 세분화 될 것이고, 니콘의 가치를 인정하는 고객도 많아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야마다 대표가 택한 길은 DSLR 집중 전략이다. 그는 “스마트폰 등장으로 죽어가는 콤팩트 카메라에 자원을 투입하는 대신, DSLR·렌즈·악세사리 등에 역량을 집중하겠다”며 “특히 캐논에게 빼앗긴 DSLR 보급기 시장의 점유율을 되찾아 오겠다”는 각오를 다졌다. 특히 “DSLR 보급기는 중·고급기 구입으로 이어지는 입구 역할을 한다”며 “현재 니콘이 D3300과 D5300 등 보급기 위주의 마케팅을 펼치는 것도 이같은 이유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한국 시장 탈환에 자신있냐’는 질문에 야마다 대표는 “당장 눈에 띄는 잘못만 고쳐도 상당히 개선될 것”이라며 “광고 활동을 더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가전제품 판매점과 온라인에 유통하는 물량도 늘릴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니콘 카메라는 디지털 화상처리, 색 재연, 암부 노이즈 제거 등에서 탁월한 성능을 보인다”며 “광학이 아닌 가전으로 출발한 회사들이 쫓아오지 못하는 강점”이라고 강조했다.


박병종 기자  ddak@hankyung.com



설정

트랙백

댓글